7. 컨테이너를 이해하여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파악
1. MiniKube란?
Mini+Kube로 보이는 이름을 가진 minikube는 로컬 환경에서 최상의 쿠버네티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명이며, 프로그램 이름이기도 하다. 보통 서버 및 클러스터 구조에서 운용되는 쿠버네티스를 간편하게 구현 및 테스트하기 위한 도구이다.
2. Minikube 사용법
2-1. minikube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
2-2. minikube 실행하기
2-3. minikube 접속하기
3. 쿠버네티스 아키텍처
3-1. 컨트롤 플레인
- 핵심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는 컨테이너가 필요한 리소스를 갖고 충분한 횟수로 실행되도록 하는 작업
3-2. kube-apiserver
-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상호작용
3-3. kube-scheduler
- 클러스터가 양호한 상태인지?
- 새컨테이너가 필요하다면 어디에 적합한지?
3-4. kube-controller-manager
- 하나의 컨트롤러는 스케줄러를 참고하여 정확한 수의 포드가 실행되게 함.
3-5. etcd
- 설정 데이터 클러스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키-값 저장소 데이터베이스인 etcd에 상주
출처:
https://blog.codonomics.com/2019/02/loadbalancer-support-with-minikube-for-k8s.html
LoadBalancer support with Minikube for Kubernetes
Agile Consulting. Software Craftsmanship Coaching. Agile Coaching. Lean-Startup Coaching.
blog.codonomics.com
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containers/kubernetes-architecture
쿠버네티스 아키텍처 소개
쿠버네티스의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 간 상호 작용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합니다.
www.redhat.com